알고리즘 기초 및 파이썬 기초 문법(3) -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자료형
리스트 자료형 -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 - 리스트 대신 배열 혹은 테이블로 불리기도 함 1. 리스트 자료형 초기화 #직접 데이터를 넣어 초기화 a = [1, 2, 3, 4] # [1, 2, 3, 4] #네 번째 원소만 출력 print(a[3]) # 4 #크기가 N이고, 모든 값이 0 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 n = 4 a = [0] * n print(a) # [0, 0, 0, 0] #반목문을 이용해서 초기화 array = [i for i in range(4)] print(array) # [0, 1, 2, 3] # 0 ~ 9까지 홀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array = [i for i in range(10) if i % 2 == 1] print(array) # [1, 3, 5..
[Python] set(집합) 자료형 정리
1. 파이썬 set(집합) 집합에 관련된 것을 처리하기위해 만들어진 자료형 순서가 없음 - 인덱싱 불가능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(고유한 값을 가짐) mutable(=값이 변하는) 객체 s1 = set([1,2,3]) print(s1) s2 = set("hello") # {1,2,3} # {'o', 'h', 'l', 'e'} 만약 set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 또는 튜플로 변환 후 접근해야함 s1 = set([1,2,3]) list1 = list(s1) print(list1) print(list1[0]) # [1,2,3] # 1 2. 파이썬 set(집합), 교집합/합집합/차집합 s1 = set([1, 2, 3, 4, 5, 6]) s2 = set([4, 5, 6, 7, 8, 9])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