깨끗한 코드란?
- 세세한 사항까지 꼼꼼하게 처리하는 코드
- 한가지에 '집중'하려는 코드 (각 함수와 클래스와 모듈은 주변 상황에 현혹되거나 오염되지 않음)
- 단순하고 직접적인 코드
- 잘 쓴 문장처럼 읽힘 (가독성)
- 설계자의 의도를 숨기지 않고 명쾌한 추상화와 단순한 제어문으로 가득함
- 반드시 필요한 내용만 담고, 추측이 아닌 사실에 기반한 코드여야 함
- 다른 사람이 고치기 쉬운 코드
- 케이스 주도 개발 (테스트 케이스가 있는 코드)
- 주의 깊게 짜인 코드
-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한 코드
- 중복이 없는 코드(중복 줄이기)
- 시스템 내 모든 설계 아이디어를 표현한 코드(표현력 높이기)
- 클래스, 메서드, 함수 등을 최대한 줄인 코드(초반부터 간단한 추상화 고려하기)
나쁜코드
- 너무 많은 일을 하려 애쓰려는 코드 (의도가 뒤섞이고 목적이 흐려짐)
- 테스트 케이스가 없는 코드
'Kakao Cloud School > Study : Clean C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클린코드] 형식 맞추기 (0) | 2022.07.07 |
---|---|
[클린코드] 함수 (0) | 2022.07.05 |
[클린코드] 의미 있는 이름 (0) | 2022.06.29 |